본문 바로가기
스포츠

[평창동계올림픽] 동계스포츠 종목 #3 - ‘루지’, ‘스켈레톤’ 경기규칙

by uncle_Jack 2017. 2. 20.


2018년 2월 9일부터 25일까지 17일간 ‘평창동계올림픽’이 개최 됩니다. 동계올림피이 열릴 때마다 우리 선수들의 선전을 기대하며 관심을 갖고 경기를 지켜보긴 했지만, 정작 각 종목별 경기규칙에 대해서는 잘 몰랐습니다. 우리나라에서 개최되는 ‘평창동계올림픽’을 계기로 동계스포츠 각 종목들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합니다. 


[스포츠] - [평창동계올림픽] 동계스포츠 종목 #1 - ‘컬링’ 경기규칙

[스포츠] - [평창동계올림픽] 동계스포츠 종목 #2 - ‘봅슬레이’ 경기규칙






[평창동계올림픽] 동계스포츠 종목 #3 - ‘루지’, ‘스켈레톤’ 경기규칙



봅슬레이와 같은 슬라이딩 종목이지만, 보다 원래의 썰매 모습에 가까운 루지와 스켈레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

평창동계올림픽 종목 루지 종목과 경기방법

[평창동계올림픽] 동계스포츠 종목 #3 - ‘루지’, ‘스켈레톤’ 경기규칙


루지는 발을 전방으로 향하고 얼굴을 하늘로 향한 누운 자세로 소형 썰매를 타고 1,000 - 1,500m를 활주하는 종목으로, 남자 싱글, 여자 싱글, 더블(2인승), 팀 계주 4 가지 세부 종목으로 나뉘어 집니다. 특이한 점은 더블의 경우 남녀 구분없이 함께 경기를 치루도록 되어 있다는 사실입니다. 하지만, 아무래도 기록 면에서 불리할 수 있는 여자 선수들이 참여하는 경우가 없어 남자 선수로만 경기가 치뤄지는 게 일반적이라고 합니다.





[평창동계올림픽] 동계스포츠 종목 #3 - ‘루지’, ‘스켈레톤’ 경기규칙



남자 싱글과 여자 싱글은 하루에 2 차례씩 이틀 동안 4번 주행한 기록을 합산하고, 더블(2인승)은 하루에 2번, 팀 계주는 하루에 1번 주행한 기록을 더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1000분의 1초까지 계측됩니다. 


팀 계주는 여자 싱글 --> 남자 싱글 --> 더블 순으로 활주하며, 그 각각의 기록을 합산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. 앞 주자가 터치 패드를 치면 후발 주자가 바로 이어서 출발합니다.




평창동계올림픽 종목 스켈레톤 종목과 경기방법

[평창동계올림픽] 동계스포츠 종목 #3 - ‘루지’, ‘스켈레톤’ 경기규칙



스켈레톤은 루지와는 반대로 머리를 전방으로 향하고 썰매 위에 엎드린 자세로 1,200 ~ 1,300m를 질주하는 종목입니다. 유일하게 썰매 종목 중 남녀 개인종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어깨, 무릎을 이용하여 조종을 합니다. 선수들은 세계선수권대회와 올림픽에서 총 4차례 활주하며 그 시간을 합산해 순위를 결정합니다. 



스켈레톤은 머리가 전방을 향해있다 보니 위험성이 높아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제외된 적도 있습니다. 액션 캠으로 스켈레톤 질주하는 모습을 담은 영상으로 엄청난 스피드를 함께 경험해 보실까요?